|
 |
 |
|
상주표시
|
· 완장착용(남자)
완장은 삼베로 만들어 졌으며, 검은 색의 줄이 있는것과 줄이 없는 것으로 구분한다.
두줄 : 아들과 사위, 아들이 없을 경우 장손이 착용한다.
한줄 : 기혼인 복인 (상복을 입지 않고 완장만 착용을 해도 복인이 된다)
무줄 : 미혼인 복인 (주로 손자들이 착용하게 된다.)
- 복인은 상복을 입은 사람을 복인이라 말하며 친가쪽 복인의 범위는 고인의 8촌이내의 친족이며 외가는 외사촌이내, 부모에 한 한다.
|
· 상장착용(남자,여자)
장례를 마친 후 상을 당했다는 표시를 하는 것을 말한다.
남자는 삼베로 만든 리본을 왼쪽 가슴에 부착한다.
여자는 무명천으로 만든 머리핀 리본을, 남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좌측머리에 여자가 상을 당했을 경우 우측머리에 리본을 꽂는다.
- 상장은 장례를 마친 후 탈상 때까지 직계가족만 착용한다. |
|
제사의 종류 |
입관이 끝나고 남·녀 상주들이 정식으로 상복을 입고, 분향소에서 제수를 올리고, 향을 피우며 첫 제사를 올리는데 이것을 성복제라 한다. (유교와 불교식에서 행함)
※ 최근에는 성복제를 올리기 전에 상복을 입는 경향이 있다. |
장지로 떠나기 전 분향실에서 제물을 준비해 지내기도 하며, 故人을 영구차에 모셔 놓고 지내는 제사를 발인제라 한다.
발인제 의미는『故人을 유택(무덤)으로 모시고자 하오니 이세상에서 다시 뵙지 못하는 영원한 이별로 故人의 평안을 비는 마음』에서 지내는 제사이다. |
장지로 가는 도중에 평소 故人이 애착이 있던 곳이나, 살았던 곳에 들러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. |
묘의 광중을 파기 전에 올리는 제사를 말한다.
사토제 의미는 이 곳에 광중을 세우니 신(神)께서 보우하사 후한이 없도록 지켜 주길 비 는 마음에서 지내는 제사다.
- 광중이란 땅을 사각으로 파서 관을 모시는 자리 |
장사지낼 때 관을 묻고 흙으로 메우기 시작하여 평지와 같은 높이가 되면 지내는 제사다. 평토제는 맏사위가 담당하는 것이 관례로 되어있다. |
장지에서 봉분(무덤)을 만든 뒤에 지내는 제사다.
성분제 의미는 무덤을 여기에 정하였으니 신께서 보우하사 후한이 없도록 지켜 주길 비 는 마음에서 지내는 제사다. |
초우제는 산소에서 장례를 끝내고 집에 돌아와서 지내는 제사 |
재우제는 산에서 돌아온 다음날 식전에 지내는 제사다.
그러나 요즈음은 재우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|
발인한 날로부터 이틀째 되는 날 산소에서 지내는 제사다.
- 우제는 돌아가신 영혼을 위로하는 제사로써 집에 돌아온 자손들이 故人을 홀로 묘소 에 모셔 놓게 되어 외롭고 놀라지 않을까 걱정되어 예를 드리는 의식이다 |
임종하신 날부터 49일이 되는 날 지내는 제사다.
49제 의미는 불교 행사로서 육체를 이탈한 영혼은 바로 극락으로 가지 못하고 온갖 세파에서 저지른 죄악을 정화하는 기간이며, 어느 곳으로 갈 것인지 정해지지 않아 심판의 결과를 기다리는 기간을 49일로 보고 있어 가족들은 영혼이 좋은 곳으로 가기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지내는 제사다.
* 오늘날 49제는 발인일로 부터 49일에 해당하는 날에 49제을 행하기도 한다. |
고인이 돌아가신 날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다. 지내는 시간은 자정에 지내는 것이 원칙이다. |
|
|
|
발인시에 관 나가는 방향 |
· 안치실에서 발인장으로 모실 때
기독교,불교,일반 : 상(上, 머리 쪽)이 먼저 나간다.
천주교 : 하(下, 다리 쪽)이 먼저 나아간다.
- 천주교는 죽은 이를 산 사람으로 간주하여 두발로 걸어 나가는 것을 의미하기때문이다.
|
임종 후 준비서류 |
· 사망진단서
고인의 주민등록증 및 국민건강보험증을 가지고 병원 원무과에서 발급 받는다.
제출처 : 장례식장, 동사무소, 국민건강보험공단, 화장장 등
- 사망진단서에 사망의 종류가 외인사, 기타, 불상인 경우는 사망장소의 관할경찰서에 신고하여 경찰 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.
- 입관 전까지 진단서와 경찰에서 발급해준 검사지휘서를 반드시 제출하여야 한다.
|
|
상주가 되는 사람 |
- 장자가 상주가 되고,
- 장자가 죽고 없으면 장손이 상주가 된다.
- 아들이 죽으면 장성한 손자가 있더라도 부(父)가 상주가 되고,아내가 죽으면 남편이 상주가 된다.
- 원칙적으로 죽은 이가 속한 가정의 가장이 상주가 된다.
|
|
|
|
|
|
|
|
|